반응형

JavaScript 2

JavaScript Fetch와 Spring Boot에서 URL 경로 포함한 DELETE 요청 처리 방법

URL 경로에는 "/" 라던지 "=" 이라던지 "%" 등 여러가지 특수문자가 들어가게 된다. 물론 객체화해서 서버로 보내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HTTP의 DELETE 메서드로 보낸다면, 어떤 서버는 body 값을 알아서 받아주기도 하지만, SpringBoot의 경우 DELETE 메서드에 body를 포함해서 받으려면 특정한 설정을 해줘야 한다. 그래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해당 URL값을 인코딩 처리해서 서버로 보내줘서, 특수문자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로 해줘야 한다. 그래서 이미 JavaScript를 만드시는 훌륭한 분들이 간단하게 함수 하나로 해당 URL값을 서버에서 받을 수 있는 인코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우리는 그 함수를 사용하기만 하면 쉽게 서버로 전송할 때 에러가 생기지 않게 할..

IT Tech/React 2024.07.11

동적 패딩 구현하기 : window의 크기에 반응하는 padding

안녕하세요. 미래를 개발하는 남자... ㅎ 김준수입니다. 스터디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중, 레퍼런스를 보고 있는데 참 신기한 것을 봤습니다. 요즘은 모바일 환경에서도 웹에 접속을 많이 하기 때문에 웹 페이지를 반응형으로 다 만듭니다. 그걸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부트스트랩 같은 프레임 워크를 이용하는 것이죠. 저도 왠만하면 부트스트랩이나 vue 같은 경우는 quasar를 통해서 구현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레퍼런스는 조금 다른 방식을 이용해서 반응을 하도록 만들었더라구요? 바로 window의 width크기에 반응해서 요소의 right padding이 줄어들었다가 늘어났다가 하는 방식으로 반응을 하더라구요. 처음에 쉬워보여서 바로 구현에 들어갔다가 두드려 맞고 나왔습니다...

IT Tech/vue.js 2024.01.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