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를 고정하는 것은 웹 서버를 운영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중에 하나입니다. 사람들이 찾아오는 주소가 계속해서 바뀌게 된다면 찾을 수 없겠죠. 하지만 IP는 한정된 자원이고, 이것을 고정해서 가지려고 한다면 결국 비용을 지불해야하는데요. 오라클 클라우드는 이 고정아이피를 계정당 하나 지원해줍니다. 그것을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인스턴스를 생성을 했습니다.
이제 그 인스턴스에 고정된 아이피를 부여할 차례입니다.
고정 IP 설정

오라클 메뉴의 Networking을 클릭해보면, IP management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이 파란 메뉴를 클릭하고, 이동해봅시다!

여기서 좌측 사이드 바 메뉴에 Reserved public IPs 라는 메뉴를 클릭해줍니다.

만약 좌측 구획이 설정하려는 구획이 아닌 다른 구획으로 선택되어 있다면 변경해주고, 해당 구획에서 Reserve public ip address 버튼을 클릭합니다.

예약된 공용 아이피 주소의 이름을 설정해주고, 다시한번 구획을 확인하고, 제일 아래에 있는 Reseve public IP address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이렇게 예약된 공용 아이피가 나오게 되면 완성 저 공용아이피 주소를 복사를 합니다.

공용아이피를 설정하려는 인스턴스로 들어가서 좌측 사이드바 메뉴의 하단부분에 Resources 메뉴중에서 Attached VNICs 를 클릭하고 들어갑니다.

여기에 나온 List의 파란색부분 이름을 클릭합니다.

거기서 나온 Resource 메뉴에 IPv4 Addresses를 클릭해서 들어가보면, 지금 인스턴스의 Ip address가 나옵니다.

여기서 assigned 컬럼 옆에 점 세개 있는 것을 눌러봅니다.

그러면 이렇게 Edit이라는 편집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Public Ip type 이라는 메뉴에서 Reserved Public Ip라는 radio를 클릭해줍니다. 아 먼저, no public ip를 클릭하고 update를 누르고 다시 Edit 메뉴로 들어가셔야 Reserved public ip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아까 설정한 아이피를 선택하면 아이피 설정까지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쉘을 통해서 해당 ip로 ssh접속을 하면 Oracle 서버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IT Tech > oracle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프리티어 인트턴스 생성하기 (0) | 2023.12.25 |
---|---|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VCN 방화벽 수신규칙 설정하기 (0) | 2023.12.24 |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프리티어 VCN 생성하기 (0) | 2023.12.23 |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프리티어 구획 설정하기 (0)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