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성 3

깃허브에 처음 프로젝트 올리기

깃허브에 처음 프로젝트를 올리는 방법입니다.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한 후 버전 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가지 git을 이용합니다. 여기서는 github에 나의 프로젝트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나의 깃허브에 접속해서 New라는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해주도록 합니다.   repository name을 작성해주고,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는 repository를 생성할 거면, Public으로 내가 선택한 사람들과 나만 볼 repository면 Private를 선택해서 생성해줍니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의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해주면, repository를 생성하게 됩니다.  그럼 이런 페이지를 볼 수 있는데요. 아주 쉽게 새로운 ..

IT Tech/github 2024.07.29

React 프로젝트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안으로 빌드하기

스프링 부트의 resources 폴더 안으로 React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것은 정말로 쉽습니다.  먼저 스프링 부트의 프로젝트 안의 frontend라는 폴더 안으로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했습니다.  이 폴더 안을 보면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을 열어보면,  이렇게 scripts라는 설정 밑으로 명령어들을 설정해 놓은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의 build 부분이 초기 세팅과 같다면 아마 vite build 라고만 적혀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만약 저와 폴더구조가 같다면 위의 명령어를 그대로 붙여 넣으면 됩니다. 명령의 흐름은 이와 같습니다. 먼저 리액트 프로젝트를 build합니다. 그리고 resources 의 static 폴더를 강제로 지우고, static 폴더를 생성하는데..

IT Tech/React 2024.07.29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프리티어 인트턴스 생성하기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란 기본적으로 오라클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되는 가상 서버를 말합니다. 이번에는 프리티어에서 가상 서버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전까지는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구획을 만들고, VCN을 만들고, VCN의 수신규칙을 설정해봤습니다. 이제 이 구획과 VCN과 VCN 수신규칙을 실제로 사용할 서버 인스턴스를 만들게 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 프리티어 구획 설정하기 애증의 오라클 클라우드입니다. 하지만 이것만큼 가지고 놀기 좋은 서버가 없기에 계속해서 쓸 수 밖에 없어요. 심지어 제 계정은 업그레이드 기간을 넘겨서 더이상 업그레이드도 되지 않는 상 zzansujip.tistory.com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란? 결국 오라클 클라우드의 인스턴스란 우리가 사용할 ..

728x90
반응형